본문 바로가기

왜 지능이 높을 수록 인생에서 실패하는 것일까?

안녕하세요
블랙 프랑스입니다

 

 

 

 

 

진화하는 인간

 

 

 

왜 지능이 높을수록 번식에서 실패하는 것일까요?

 

진화의 관점에서 성공이라는 기준은

번식에 성공해야 한다는 것일 겁니다

 

반대로 

부자연스러운 가치관은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계의 모든 종들)으로서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자신의 의지로 자식을 갖지 않는 일일 것입니다

 

인간을 포함해 자연계의 생명체는 모두 

진화의 흐름 속에서 번식했고

자손을 남기게끔 만들어졌죠

번식의 성공은 어떤 생명체든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영국의 NCDS(국립 아동 발달 연구)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번식을 시작할 무렵인 23세(?) 시점의 응답자에게

"평생 몇 명의 아이를 원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 결과는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원하는 아이의 수가 유의미하게

적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어린 시절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어른이 된 후 아이를 원하지 않을 경향이 높다는 것이죠

 

 

 

사바나~

 

 

"지능의 역설"에서 작가는

사바나 원칙을 예로 듭니다

 

사바나 원칙이란

우리의 뇌는 우리 조상들의 환경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나

존재하지 않았던 상황은 잘 이해할 수 없으며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다는 이론입니다

 

저자는

지능이 낮은 사람 일 수록 본능적으로 행동할 확률이 높고

지능이 높은 사람 일 수록 반 본능적으로 행동할 확률이 높다고 

얘기합니다

 

고로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본능(번식의 성공 등의)적인 행동에서 벗어날 확률이 높고

2세를 만들지 않을 확률이 높아짐에 따라

번식의 성공에선 실패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https://linktr.ee/chabliesherry

 

chabliesherry | Instagram | Linktree

프랑스 4년 유학생의 / 와인, 프랑스여행, 위스키

linktr.ee